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55

삼성페이와 애플페이 차이 잘 모르는 삼성페이 기능들까지 삼성페이와 애플페이의 차이점 궁금하신 분들이 있을 겁니다. 왜 한국에서 그동안 애플페이가 안 됐을까?? 똑같이 핸드폰을 가져다 대는 건 맞는데 어디서는 삼성페이는 되고 애플페이는 안 되는 것일까요? 정답은 결제 방식에 있습니다. 삼성페이는 NFC와 MST방식을 모두 지원합니다. NFC는 근거리에서 비접촉으로도 결제가 되는 방식입니다. 가끔 신용카드에 와이파이 모양처럼 생긴 마크가 있으면 외국에서 카드를 가져다 대는 것만으로도 결제되는 것을 보신 분들도 있을 겁니다. 애플 페이는 이런 NFC 결제만을 지원하고 특정 단말기가 있어야 했습니다. 반대로 삼성페이는 카드를 긁는 것과 같은 형식인 마그네틱 결제를 지원합니다. 이 방식이 MST 방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신용카드가 되는 곳에서는 삼성페이가 모두.. 2023. 6. 12.
말차가 뭐야? 같은게 아니다 녹차와 말차의 차이 녹차와 말차의 구분 녹차는 너무 익숙하지만 가끔 말차라고 되어있는데 녹차같이 초록색의 씁쓸한 음료를 주는 경우를 보신 적 있을 겁니다. 특히 말차라테가 뭔지 물어보면 녹차라테예요라고 대답하는 경우도 종종 보셨을 텐데요. 그럼 녹차랑 말차는 같은 걸까요? 전혀 아닙니다. 녹차와 말차의 차이가 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배, 가공 방법의 차이 지난 번 글에서 공부했었는데 녹차는 녹찻잎을 수확 후 건조(위조) 과정을 거치고 산화를 막기 위해 가열하는 '살청' 과정을 거칩니다. 그 후 손으로 찢거나 비비는 유념의 과정을 가지게 됩니다. 말차도 같은 찻잎으로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그러나 차이점은 '차광 재배'입니다. 차광 재배란 찻잎을 수확하기 2~6주 전에 차나무에 빛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나무의 성장을 .. 2023. 6. 7.
녹차 홍차의 차이? 같은 차인거 아셨나요? 재밌는 차의 종류 차의 종류와 구분 티백으로도 많이 접하지만 카페에 가서 커피대신 마실 때 차(茶)만 한 게 없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녹차나 홍차도 있지만 다양한 차들이 있어 뭐가 뭔지 모를 때가 많이 있는데요, 오늘은 재밌는 차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의 구분 우리는 섞어서 쓰지만 크게 차와 티젠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차(Tea) : 찻잎을 우려낸 음료 ■ 티젠(Tisane) : 허브, 과일 등을 우려낸 음료 차(tea)에는 대표적으로 녹차, 홍차등이 있고 관심 있는 분들은 백차, 홍차들도 들어보셨을 겁니다. 티젠은 카모마일, 페퍼민트와 같은 허브차나 감귤차와 같은 과일차들이 있습니다. Tea에 대해서 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Tea)의 종류 녹차랑 홍차가 사실은 같은 나무에서 나오.. 2023. 6. 6.
집에서 위스키 맛있게 먹는 법 색다른 방법으로 다양하게 즐기기 위스키 맛있게 먹는 법 위스키를 즐기시는 분들도 있고 선물은 받았지만 잘 안 마셔서 장식장에 하나씩 쌓여가는 분들도 있을 위스키. 조금은 먼 위스키였지만 요즘 유행이 되면서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위스키를 어떻게 즐기고 계신가요? 보통 얼음에 타서 드시면서 위스키를 즐기신다고 생각하시나요? 오늘은 더 다양하게 먹는 방법으로 색다른 맛을 즐길 수 있는 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니트(Neat) 위스키 그대로 즐기기 위해서 추천드리는 방법 바로 니트입니다. 쉽게 말하면 얼음 없이 위스키만 잔에 따라 마시는 것인데요. 스트레이트로 마시는 것과 혼동되기 쉽지만 약간 다릅니다. 향이 은은한 블렌딩이나 싱글몰트 위스크니 글랜캐런 잔에 마시면 향이 더 진하게 느껴집니다. 조금 찌그러진 것처럼 생긴 글랜캐런.. 2023. 6. 5.
다 같은 양주가 아니다 위스키 브랜디 럼 차이점과 양주 구분법 양주 별 특징 알아보기 요즘 위스키 열풍이 불면서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냥 양주라고만 했지 위스키도 양주, 브랜디도 양주 아닌가요? 그러다 보니 위스키, 브랜디, 럼과 같이 술들의 차이도 모르고 그냥 나오는 대로 불렀습니다. 이제는 그럴 수 없다 싶어서 양주의 종류에 대해서 공부해 보고 구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스키 위스키는 우선 보리로 만들 술입니다. 보리에 싹을 틔운 것을 맥아라고 하고 여기에 물, 효모를 넣어주면 발효하면서 술이 만들어 집니다. 이 술을 증류해서 오크통에 숙성한 것을 위스키라고 총칭합니다. 보리로 만든 술 하면 맥주가 먼저 떠오르실 텐데요, 맥주는 맥아로 만든 맥즙에 홉과 효모를 넣어서 발효시키면 만들어집니다. 보리만 같을 뿐 들어가는 성분과 제조 과정이 다.. 2023. 6. 4.
이것만 알면 기본은 하는 위스키 용어 초보에게 추천드리는 위스키 입문 가이드 위스키 입문 가이드 요즘 또 하나의 트렌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위스키가 유행입니다. 코로나 때부터 홈파티가 유행하고 집에서 술을 먹는 다양한 문화들이 만들어졌습니다. 그중 위스키의 매력에 빠진 젊은 세대들이 다소 비싼 제품들임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아끼지 않습니다. 그러나 소주랑 맥주 밖에 모르던 우리에게 위스키는 생소하기 마련인데요. 알고 보면 간단한 위스키 초보용 설명 공부하면서 적어보았습니다. 지역에 따른 위스키 분류 스코틀랜드에서 만든 위스키 = 스카치 위스키 아일랜드에서 만든 위스키 = 아이리쉬 위스키 미국에서 만든 위스키 = 아메리칸 위스키, 버번위스키, 테네시 위스키 일본에서 만든 위스키 = 재패니스 위스키 뭐든 원산지를 가장 먼저 따집니다. 와인처럼 위스키도 유명 지역들이 있고 부르는 명.. 2023. 5. 31.
집에서도 손쉽게 만들수 있는 인기있는 칵테일 홈메이드 칵테일 레시피 칵테일 하면 어렵다고 생각이 듭니다. 바텐더들이 멋있는 묘기를 부려가며 술을 넣고 멋진 도구들로 섞고 불도 붙이고 하니까 나하고는 상관없는 음료구나 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전혀 어렵지 않지만 너무 맛있는 칵테일. 세계에서 가장 있는 있는 칵테일 10종을 간단하게 집에서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칵테일 만들 준비 칵테일을 맛있게 만들기 위해서는 술이나 베이스들도 필요하지만 몇가지 도구들도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게 넣고 섞어주는 쉐이커인데요 만약 집에서 없다면 텀블러로 충분히 대체 가능합니다. 그리고 정확한 비율과 계량을 위해 지거를 사용하지만 없다면 소주잔이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얼음까지 있으면 완벽하겠네요. 쉐이커 → 텀블러 지거 → 소주잔 얼음 듬뿍 준비 쉬운 칵테일 만.. 2023. 5. 30.
휴가중에도 월급이 나오는 직장인 휴가 종류 유급휴가 최고 직장인 유급휴가 정리 연예인의 꿈이 사람들이 몰라보지만 돈이 많은 것처럼 직장인의 꿈은 일은 안 하지만 월급이 들어오는 거 아닐까요? 건물주가 아닌 이상 그러기는 힘들겠지만 휴가 중에도 월급이 들어오는 유급휴가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차 휴가 직장인에게는 생명과도 같지만 가장 기본적인 연차입니다. 어떤 달에 연차를 많이 쓴다고 해서 월급이 줄지는 않죠? 연차 역시 유급 휴가 중 하나입니다. 연차 부여 일수 ■ 1년 미만 근로자 - 1개월 개근하면 1일 유급 휴가 부여 ■ 3년 미만 근로자 - 매년 15일 유급 휴가 부여 ■ 3년 이상 근로자 - 15일 + 2년마다 1일씩 유급 휴가 부여 ■ 1년 연차 최대 한도는 25일 연차 부여 조건은 근로기준법에 대해 최소기준입니다. 회사 사규로 지정한 차.. 2023. 5. 24.
해외 여행갈 때 체크해야할 필수 어플 정리 해외여행 필수 어플 코로나가 끝나고 해외여행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랜만에 해외여행을 가려고 하니까 뭘 챙겨야 할지 혼란스러우시죠? 그동안 기술도 많이 발전해서 좋은 어플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오늘은 해외에 가기 전에 설치하고 가야 할 필수 어플 정리해 보겠습니다. 해외여행 필수 어플 구글지도 세계적으로 가장 사용하기 좋은 지도 어플입니다. 내 위치를 정확하게 알려주고 가는 방향도 빠르게 알려줍니다. 우버 해외에서 이용 가능한 차량 공유 서비스입니다. 보통 택시 탈 때 바가지 당하는 거 아닌지 걱정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럴 필요 없이 믿고 이용 가능합니다. 파파고 번역기 어플 중에서 가장 간편합니다. 다양한 언어 모두 번역이 가능하고 사진 한 번 찍으면 한 번에 해석해 주니 편합니다. 환율계산.. 2023. 5. 22.
더 오르기 전에 무서운 여름철 전기료 절약 방법 총정리 전기 절약하는 방법 깔끔하게 정리 얼마 전 한전에서 적자를 메꾸기 위해 전기료를 올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전기요금은 KWh당 8원이 인상되어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3,000원 정도가 오른다고 합니다. 이마저도 완전히 적자를 메꿀 수는 없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가격 인상이 우려가 된다고 하는데요. 특히 전기세가 걱정되는 건 여름철입니다. 겨울에는 가스 걱정, 여름에는 전기 걱정으로 집에서 춥고 덥게 지내게 생겼습니다. 그런데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전기료를 훨씬 아낄 수 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전기료 아끼는 꿀팁 정리해 보겠습니다. 에어컨 전기 아끼는 방법 여름철 가장 중요하지만 전기료의 주범은 에어컨입니다. 에어컨 전기 절약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환기는 에어컨 가동 전에 하기 공기질과 건강을 위해서 환기.. 2023. 5.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