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계좌 만기 시점 미리 공부
ISA 계좌 모두 가지고 계시죠? 일단 이거는 만들어야 한다고 해서 활용은 안 해도 많은 국민들이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도 가지고 있고 작게나마 투자 후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어느새 만기가 되었습니다. 사전에 계속 알람이 왔었는데 바빠서 못 본 척하다가 이렇게 냅 둘 수는 없어서 ISA 계좌에 대해서 공부해 보기로 했습니다.
우선 ISA 계좌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제 전 글을 보고 오시면 됩니다. 맨 아래에 링크도 넣어 두겠습니다.
우선은 간단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1. ISA 계좌
- 일반적으로 의무 가입 기간은 3년입니다.
- 만기일은 개설할 때 정하고 의무 가입 기간이 끝나도 만기가 끝나지 않습니다.
- 의무가입 기간 이전에 해지 시에는 세제 혜택을 못 받습니다.
- 의무가입 기간 이후 해지 시에는 비과세 혜택과 분리 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이해해야 하는 것이 마로 만기와 의무 가입 기간입니다. 의무 가입 기간은 3년으로 정해져 있고 만기일은 설정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두 번째 말씀드린 것처럼 의무 가입 기간이 끝났더라도 만기는 안 끝났을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의무 가입 기간을 지키는 것입니다.
2. ISA 계좌 만기 시
- 만기가 다가오면 연장, 인출, 이전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 만기 3개월 전부터 연장 신청이 가능하며, 만기일 전에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
- 금융 종합과세 대상자(예로 이자 배당 수익이 연 2천만 원 이상)는 연장이 불가능합니다.
- 만기일 후 30일 이내 현금화와 해지 신청 하지 않으면 비과세 및 세제 혜택이 없어지게 됩니다.
- 해지는 계약 종료지만 목록에서 사라지지는 않고 매도는 가능합니다.(매수 불가)
- 해지 후 폐쇄 절차 추천
여기서 저는 실수했습니다. 만기와 의무 계약기간을 헷갈려서 만기까지 있는 상품들을 매도하지 않았습니다.
그랬더니 혜택이 없어졌고 만기일 이후는 일반 계좌로 전환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기일 이전에 매도한 금액에 세재 혜택 제공이 됩니다.
3. ISA 만기 전략
-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 이력을 확인합니다.(대상이면 해지하지 않는 것이 더 유리)
- 비과세 한도를 고려하여 수익금과 비교해 보고 한도를 초과하지 않았다면 만기를 연장합니다.
- 비과세 한도인 200만 원(일반형), 400만 원(서민형)이 가까워질 때까지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비과세 한도를 채웠다면 해지 후 신규 가입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방향은 의무 가입 기간인 3년마다 비과세 한도인 200만 원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4. 연금 계좌 전환 혜택
- 계좌 해지 금액을 연금 계좌로 전환하면 추가 세액 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 납입 한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렇게 ISA 계좌에 대해서 공부를 해봤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저는 만기가 지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재가입 예정입니다. 여러분들은 미리 공부하셔서 혜택을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ISA 계좌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주식 계좌 사용 전에 ISA부터
ISA 계좌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주식 계좌 사용 전에 ISA부터
ISA 계좌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우선 ISA 계좌에 대해서 알아야 만들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겠죠? ISA 란 '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개인 종합 자산 관리 계좌를 일컫습니다. 요즘
hogisimking.tistory.com
'재테크 >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계좌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주식 계좌 사용 전에 ISA부터 (3) | 2025.01.04 |
---|---|
주유비 아끼는 방법? 잘 못 알려진 상식 바로 알고 연비 운전을 위한 꼭 하나 지키기 (0) | 2024.01.30 |
무제한 교통카드 기후동행 혜택부터 발급방법까지 알아보자 (0) | 2024.01.28 |
알면 무조건 이득인 콘택트 렌즈 저렴하게 구매하는 방법 온라인 구매 직구 (0) | 2023.11.29 |
이사가도 그대로 써두 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 환불도 가능 (0) | 2023.1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