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저렴하게 구매하기
우리나라에 눈이 나쁜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대한안경사협회가 21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안경을 쓰는 비율이 성인 55.4%, 학생 37.1%로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가 안경이나 시력 보조 장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라식, 라섹 수술도 많이 해서 시력 보정을 하기도 하지만 미용이나 다양한 이유로 인해 안경 대신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 콘택트 렌즈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원데이용으로 사용하다 보니 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장기간 사용 가능한 렌즈는 관리도 필요하고 자칫 오래 사용하면 오염되어 결막염에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위생적이고 관리가 쉬운 원데이가 인기지만 가격이 문제죠.
최근 발표한 민생규제 혁신 방안에 콘택트 렌즈에 관련된 내용이 들어가서 그 내용을 알아보고 현재도 가장 저렴하게 살 수 있는 방법과 간단한 상식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민생규제 혁신 방안 콘택트렌즈 온라인 구매
안되는게 더 이상하다고 생각할 정도로 콘택트렌즈는 온라인에서 구매가 불가능 했습니다. 의료기사 관련 법령에 전자상거래 및 통신 판매 방법으로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판매하여서는 안되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안경점에 방문해야 구매가 가능했습니다. 안전이 우려된다는 이유였었죠. 그러나 이를 수정하여 보건복지부는 24년 상반기부터 실증 특례를 통해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면 온라인을 통해 구매가 가능하게 할 예정입니다. 우선 일회용 렌즈부터 적용 예정이며, 이렇게 되면 온라인상에서 직접적인 가격 비교가 가능해지고 경쟁을 통해 소비자는 조금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콘택트렌즈 저렴하게 구매하는 법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23년 기준 현행법에서 온라인 구매가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해외 구매대행은 금지를 하고 있지만 해외 직접 구매는 제한되어 있지 않습니다. 개인이 해외에서 직구는 가능합니다. 보통 해외 배송의 경우 배송비 등의 문제가 있지만 렌즈 같은 경우 매일 사용하는 일이 많아 대량으로 구매해도 금방 사용하게 됩니다. 약 절반 정도의 가격으로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해외 직구 방법
우선 직구를 위해서는 해외 결제 가능 카드와 렌즈 도수에 대해서 알면 됩니다. 렌즈 도수 외에도 곡률 반경, 직경등이 필요하므로 이전에 구매했던 렌즈 상자에 전부 적혀있습니다. 그럼 준비는 끝났습니다.
검색창에 '렌즈 해외 직구'를 검색합니다. 그러면 몇가지 사이트가 나오기도 하고 Q10과 같은 직구 사이트에서 렌즈와 브랜드명을 함께 검색하면 됩니다. 쿠폰이벤트나 할인 이벤트 등을 적용하면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몇 가지 사이트를 비교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배송기간은 약 보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아직 여유분이 있을 때 미리 주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렌즈 사용 주의점
추가적으로 놓치기 쉬운 렌즈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착용시간 지키기
장시간 사용하면 각막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 붓거나 상처가 나기 쉽습니다. 결막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소프트 렌즈는 최대 8시간, 하드 렌즈는 10시간, 컬러 렌즈는 4시간 정도가 적당합니다.
위생 관리
당연한 말이지만 세균의 오염을 막기 위해 렌즈 착용, 제거 전 손을 깨끗이 닦아야 합니다.
화장 전 착용
이건 놓치는 분들이 많은데요 마찬가지로 오염을 막기 위해 메이크업 전에 렌즈 착용이 좋습니다. 아니면 화장품이 눈에 들어가기 쉽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화장 지우기 전에 렌즈를 빼고 지우는 것이 좋습니다.
미세먼지 심한 날은 피하기
황사나 미세먼지가 심하면 안질환의 원인이 되므로 눈에 피로를 주는 렌즈보다 안경 착용을 권장합니다.
렌즈, 케이스 관리
오래 사용하는 렌즈는 꼭 세척액을 통해 바로 세척해야 하며 손바닥 위에 렌즈를 놓고 세척액을 떨어트린 후 손가락으로 부드럽게 문지르면서 헹궈줍니다.
렌즈 케이스 역시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보존액을 자주 갈아주며 일주일을 넘기지 않습니다. 렌즈 케이스 역시 2~3달에 한 번씩 교체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어려울 것이라 생각하고 겁먹기보다 한 번 해보면 간단한 게 직구입니다. 생각보다 많은 비용이 드는 렌즈를 저렴하게 구매한다면 고정비를 아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혁신안으로 인해 내년에는 온라인 가격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겠지만 그전까지는 해외 직구를 통해 저렴하게 구매하고 눈 건강도 지키시길 바랍니다.
'재테크 >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유비 아끼는 방법? 잘 못 알려진 상식 바로 알고 연비 운전을 위한 꼭 하나 지키기 (0) | 2024.01.30 |
---|---|
무제한 교통카드 기후동행 혜택부터 발급방법까지 알아보자 (0) | 2024.01.28 |
이사가도 그대로 써두 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 환불도 가능 (0) | 2023.11.29 |
남은 항공사 마일리지 알뜰하게 잘 사용하는 방법 총정리 (2) | 2023.11.26 |
더 오르기 전에 무서운 여름철 전기료 절약 방법 총정리 (0) | 2023.05.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