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탈모 의심 된다면 꼭 지켜야 하는 방법
대한민국 탈모 환자 1,000만 시대라고 합니다. 전 국민이 5천만 정도 되니까 약 20% 정도가 해당하네요. 그런데 문제는 젊은 나이에도 환자 비율이 높고 급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일부 기사에 따르면 최근 5년 내 15%가 증가했다고 합니다. 더욱 심각한 이유는 젊은 나이에 탈모를 방치하기 쉽다는 것입니다. 탈모는 나이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고 머리 빠지는 것이 가속화되더라도 탈모보다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생각하고 내버려두기 쉽다는 것이지요. 오늘은 20대 들의 탈모를 더 악화시키는 잘못된 실수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탈모 의심하기
30대도 마찬가지지만 20대에게 가장 무서운 것은 나는 아닐꺼야 라는 생각입니다. 탈모는 중년 이상의 남성들의 질병으로 인식되고 알고 왔기 때문에 아직은 아니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시대가 변했습니다. 식습관,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2차 성징이 빨라졌고 탈모 역시 앞당겨졌습니다. 아버지 세대를 생각하면 안 되는 것이지요. 외국 배우들을 보면 알겠지만 젊은 시절부터 탈모인이 많은 게 서양의 특징입니다. 우리 역시 서구화되고 있으므로 마찬가지입니다.
약간의 의심이 생긴다면 전문의의 진단을 빠르게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탈모약 부작용
사실 탈모는 꼭 피하고 싶지만 부정하고 싶은 이유가 바로 탈모약의 부작용 때문입니다. 탈모약 효과가 좋은건 모두 알고 계실 겁니다. 그러나 부작용도 너무 유명합니다. 피로감, 위장 장애, 성기능 장애 등. 앞의 2가지는 큰 문제가 되지 않죠. 마지막 성기능 장애가 가장 무서워합니다. 특히 20대는 더 하겠죠. 그러나 이는 오류가 있습니다. 실제 위약 테스트 결과 심리적인 영향이 많다고 판단 발생되었고 실제 발생 빈도는 1%정도로 아주 작은 수입니다. 이보다는 다른 영향이 더욱 많죠. 탈모가 과속화되는 시점에 스트레스, 피곤 등이 연관되어 있고 이는 성기능과도 밀접합니다. 나이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전 같지 않다고 느끼실 때 탈모가 오기 쉽습니다. 우연히 맞아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이지요. 두려워하지 마시고 적당한 치료가 필수입니다.
탈모 샴푸
특히 가장 많이 오해하는 경우입니다. 전문의의 상담을 받기 두려워 시중에 있는 탈모샴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두피 염증을 가속화시키면서 안 좋은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보통은 탈모에 좋다는 기능성 소재를 소량 첨가하여 탈모 샴푸로 소구 하며 제품을 출시합니다. 그러나 이 제품들 중 염증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끝에 '설페이트'라고 쓰여진 원료들이 그것들이지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듈 라우레스 설페이트 등. 이런 계면활성제는 두피에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을 유발 할 수 있는 성분인 ~티아졸리논 성분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샴푸들은 세정력이 좋기 때문에 위와 같은 성분이 안 들어간 샴푸를 사용하시면서 생활습관을 잘 가지시는 게 좋습니다.
생활 습관
일상 생활 습관도 문제입니다. 술, 담배 즐기시나요?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혹시 머리를 벅벅 감으시나요? 두피에 악영향을 줍니다. 감은 후 머리 잘 말리시나요? 안 말리면 습기로 인해 피부염에 원인이 됩니다. 머리를 손톱으로 긁으시나요? 두피에 강한 자극을 줍니다. 모자를 자주 쓰시나요? 통풍이 안되고 습하기 쉽습니다. 직사광선을 자주 받으시나요? 두피에 강한 자외선은 악영향을 줍니다.
탈모가 정말 걱정되신다면 술, 담배를 끊고 잘 씻고 잘 말리고 두피를 편안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어쩌면 저도 그동안 부정하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네요. 늦으면 돌이킬 수 없는게 탈모입니다. 조금은 무섭고 귀찮더라도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으면 더 빠른 대처로 비용도 시간도 머리카락도 아낄 수 있지 않을까요?
'하루지식 >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닝머신과 야외 달리기의 차이점, 달리기의 좋은 점 (1) | 2023.11.27 |
---|---|
유퀴즈 비만 전문의 선생님께서 알려준 다이어트 방법 정리 (2) | 2023.11.23 |
내가 사기는 아깝지만 가지고 싶은 선물 추천 리스트 (0) | 2023.11.15 |
선물 선택이 어려울 때 선물 고르는 방법 가이드 (1) | 2023.10.23 |
지역 난방비 절약의 핵심은 간헐 난방!! 난방비 절반으로 줄이는 방법 알아보기 (2) | 2023.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