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의 필요한 물
다들 잘 아시겠지만 우리 몸의 70%는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 몸은 물을 매개로 대사를 하기 때문에 필수이고 조금만 부족해도 여러 증상이 나타납니다.
우리 몸의 물 부족 현상
1. 수분 2%가 부족하면 목마름, 갈증을 느낍니다.
2. 수분 4%가 부족하면 피곤함을 느낍니다.
3. 수분 10%가 부족하면 소변량이 줄고 혈압이 떨어지면서 무기력해집니다. 인지기능이 약간씩 떨어지기도 합니다.
4. 수분 20%가 부족하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이는 급성 탈수의 경우입니다. 보통은 우리 근처에 식수로 사용할 수 있는 물이 있고 저 정도까지 가지는 않습니다.
현대인의 물부족, 만성탈수
그러나 현대인들은 대부분 만성탈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급하게 수분이 빠져나가면 극심한 갈증을 느끼고 수분을 보충합니다. 하지만 천천히 수분이 부족한 상태로 3개월이 지나면 몸은 만성 탈수에 빠지게 됩니다. 특히 여기서 더 큰 문제는 물 모양을 하고 있지만 물이 아닌 제품들을 주로 마신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커피, 녹차, 술, 단 음료 등이 있습니다.
몸의 수분이 부족하면 나타나는 증상
1. 피부에 수분이 모자르면서 주름이 생기고 칙칙해집니다.
2. 대변이 토끼똥처럼 나오가나 변비가 생깁니다.
3. 감정의 기복이 잦아집니다.
4. 배고픔으로 잘 못 인지하여 계속해서 음식을 찾게 됩니다.
하루 권장 수분 섭취량
우리가 하루에 마셔야 하는 물은 얼마나 될까요? 한 때 2리터로 많이 알려졌지만 실은 많은 양입니다. 하루에 8~10잔은 실제로 마시기도 많이 힘든 양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물은 대사에 사용되기 때문에 대사가 높을 때는 물의 양이 많이 필요합니다. 우리가 2000kcal 먹으면 약 2000cc의 물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전부 물로 마시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음식물에는 물이 포함되어 있다. 채소는 물론 고기에도 70%의 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보통의 식사를 할 때 보통 음식으로 먹는 수분의 양이 1리터 정도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순수 마시는 물의 양은 1리터 정도면 적당하고 이는 약 5잔 정도가 되겠네요.
물이 맛 없어서 잘 못 드시는 분들은 보리차, 옥수수차와 같은 곡차로 마시면 좋습니다. 또한 탄산수도 과도하지 않으면 괜찮습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찻잎으로 만든 녹차, 우롱차 등은 제외입니다.
이렇게 물을 잘 마시면,
1. 피부가 좋아지고
2. 변 보는 것이 편해집니다.
3. 다이어트에 도움이 됩니다.
4. 장기적으로는 방광염, 요로결석을 예방해줍니다.
수분이 과도하면
우리가 마신 물은 1분이면 흡수 체내로 흡수합니다. 이를 콩팥 흡수해서 내보내야 하는데 1시간에 1리터 정도의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넘으면 혈중 수분양이 높아지고 나트륨의 농도가 낮아지면서 저나트륨혈증이 생깁니다. 이는 물이 바로 뇌세포로 가기도 하여 뇌부종이 생겨 사망에 이를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합니다. 하지만 이는 극단적인 경우를 말씀드린 것이고 보통은 빈혈이나 어지럼증 등을 느끼기도 합니다.
2리터는 괜찮을까요? 네. 괜찮습니다. 그러나 화장실을 자주 가기 때문에 배뇨 관련 질병이 있으신 분들은 일상생활이나 수면에 어려움을 느끼기 쉽습니다. 또한 위염이 있으시면 위산 농도가 낮아져 소화에 안 좋은 영향을 주고 역류성 식도염이 있으면 위산이 역류하기 쉽게 만들어 안 좋습니다.
내 몸의 수분량을 확인하는 법
실제 생활습관에서도 알 수 있지만 현재 상황을 알고 싶으면 소변색으로 간단하게 확인 가능합니다. 연노란색은 괜찮은 상태이며 노란빛은 경도 탈수, 주황빛은 심한 탈수로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
수분 섭취의 잘 못된 습관
1. 가장 대표적인 습관은 물을 안 먹습니다.
2. 식사 중 한 컵의 물은 좋다. 그러나 맵고 짠 음식으로 2~3컵 마시면 안 좋습니다.
3. 다른 물로 대체하는 경우 오히려 수분이 부족해집니다. 특히 커피, 녹차와 같은 카페인 음료는 이뇨작용으로 수분을 빼가기 때문에 더 많은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
기타 물 마시기 상식
기상 후 물 한잔은 좋습니다. 자면서 오랜 시간 수분 보충이 안되고 땀으로 물이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물이 대사 활성화에 도움을 주면서 개운한 아침을 만들어 주기도 합니다. 그러나 너무 차갑게 먹으면 안 좋습니다. 위가 놀랄 수 있기 때문에 체온과 비슷한 물이 가장 좋습니다.
'하루지식 >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정옷 검게 하얀옷 하얗게 하는 색바랜 옷 되돌리는 방법 (0) | 2024.08.20 |
---|---|
비 오는 날 미세먼지가 나쁜 이유는? 비 온다고 문 열기 전 확인하세요. (0) | 2024.07.11 |
식후 양치질, 식후 커피 식사 후 하면 안되는 건강 망치는 습관 (0) | 2024.05.21 |
집에서도 흐린날도 필수품 선크림 피부노화를 막기 위한 제대로 바르는 방법 (0) | 2024.05.06 |
자취방 구할 때 부동산 가기 전 확인 사항 읽어보면 도움되는 글 (0) | 2024.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