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지식

더닝 크루거 효과_무식하면 용감한 이유_간단하고 자세히 알아보자

by 하루발전 2021. 1. 6.

안녕하세요.

오늘도 하나 더 배워가는 하루발전입니다.

더닝 크루거 효과

옛말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

 

또 학교 다닐 때 보면

공부 잘하는 애들이 맨날 "나 시험 망쳤어"

라고 울곤 했었죠

 

 

둘 다 보기 좋은 일들은 아니지만 왜들 이러는지

과학적으로 제안한 사실이 있습니다.

 

더닝 크루거 효과

 

한 번 간단하고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한 줄 정리


더닝 크루거 효과(Dunning-Kruger effect)란?

 

능력 부재로 잘못된 결론에 도달함에도 자신의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현상.

 

 

더 자세히 알아보자


찰스 다윈

진화론을 주장한 찰스 다윈은

"무지는 지식보다 더 확신을 가지게 한다"

라고 하였고,

영국의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은

"이 시대 아픔 중 하나는

자신감 있는 사람은 무지하고

상상력과 이해력이 있는 사람은

의심하고 주저한다"

고 하였습니다.

 

 

이에

1999년 코넬 대학의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크루거 교수가

학부생에게 인지편향 실험을 통해

제안한 이론

더닝 크루거 효과입니다.

더닝 크루거 실험

■ 실험 방법

45명의 학생에게 논리사고 실험을 치룬 후

자기의 예상 성적을 적어 내게 했습니다.

결과는 어떻게 나왔을까요?

 

성적 높은 학생 → 낮게 예상

성적 낮은 학생 → 높게 예상

 

이렇듯 뛰어난 학생은 자신감이 없었고

조금 부족한 학생은 현실을 자각하지 못했습니다.

(사실 다 코넬대학 학부생이면 뛰어나지 않았을까요?)

더닝 크루거 실험

이 이론에 따르면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경향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1.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 한다.

2. 다른 사람의 능력을 인정하지 않는다.

3. 자신의 능력 부족으로 생긴 오류를 알아 보지 못한다.

4. 능력이 나아지고 난 뒤에서야 능력 부족을 인정한다.

 

그렇다면 이런 현상은 어떤 문제를 야기할까요?

1. 섣부른 잘못된 판단

얕은 지식만 있고

자신의 능력을 인지 못한 상황에서는

문제에 대해 신중하지 못하고

섣부른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2. 지나친 신중함

능력있는 사람이

신중하기만 해서 시도조차 안한다면

성공할 확률은 제로입니다.

 

자기 학습

양쪽다 좋은 현상은 아닌데요

해결하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제일 중요한 것은

'자신을 분석하고 정확한 능력 파악'

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지나친 자신감과 신중함은

모두 안좋은 결과를 나타내지요.

 

 

1. 섣부른 판단을 하는 사람

→ 다양한 지식 습득 선행

 

2. 지나치게 신중한 사람

→ 과감하게 행동을 개시하는 용기

 

신중한 용기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 교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 내렸습니다.

"능력이 없는 사람의 착오는

자신에 대한 오해에 기인하고,

능력이 있는 사람의 착오는 다른 사람이

더 잘 할 것이라는 오해에 기인한다."

 

여러분은 어떤 유형의 사람인가요?

 

 

내 생각 더하기


가끔 장난으로 말하는

무식하면 용감하다라는 말이

실험을 통해 

이유를 밝혀냈었네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를 아시나요?

그의 가장 유명한 말 중에 하나가

'네 자신을 알라'

입니다.

용감

사실 다르게 사용되고 있지만

본래의 뜻은

'지혜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아는 자가 가장 지혜로운 자'

였습니다.

바로 무지를 알고 인정하는 것이

지혜의 시작이었던 것이죠.

 

모름을 인정하는 것은

배움의 자세가 되고

발전의 시작이 되는 듯 합니다.

끝없는 배움

조금만 알아서

내가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자만과 교만이

섣부른 판단을 만들어 내고

실패하기 쉬운 길이지 않은가 싶습니다.

 

 

우선 나를 판단하는 눈을 가지는 것

사실 이것도 지식이 있어야 판단이 가능하죠.

 

그렇다면

항상 겸손하고

끊임없이 배우는 자세가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겠습니다.

 

오늘은 재밌는 주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처음 듣는 이름이였는데요

우연한 기회에 보게 되어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도 이런 주제를 찾아

같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