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지식/생활상식

서번트 증후군 뜻부터 원인 사례까지_간단하고 자세하게 알아보자

by 하루발전 2021. 5. 25.

 

안녕하세요.

오늘도 하나 더 배워가는 하루 발전입니다.

영화나 드라마, 만화에서 매력적으로 다루어지는 소재가 있습니다.

2013년 최고 시청률 21.5%를 기록하며 인기리에 종영된 드라마 '굿닥터'를 기억하세요?

배우 주원이 연기했던 박시온역은 자폐 3급이었지만 천재적인 암기력과 공간지각 능력으로 훌륭한 의사가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화제가 된 게 바로 이 '서번트 증후군'이었습니다.

 

서번트 증후군

서번트 증후군이 무엇인지 한 번 간단하고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한 줄 정리


서번트 증후군[Savant sundrome]이란?

자폐증이나 지적장애를 가진 사람이 특정 분야에서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증상.

 

 

 

더 자세히 알아보자


서번트증후군의 천재성

■ 유래

영국 의학박사 다운은 이디엇 서번트(idiot savant)라고 부르는 10명에 대한 사례를 1997년 런던의학협회에 발표했습니다. 이디엇(idiot)은 바보, 백치라는 뜻이고 서번트(savant)는 학자라는 뜻으로 상반되는 두 단어를 합쳐 '백치 천재'라는 뜻입니다. 이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천재성을 보이고 기억력도 뛰어났습니다.

 

 

■ 원인

 '좌뇌의 손상과 우뇌의 보상 이론'으로 설명을 합니다. 태아는 우뇌가 먼저 성장하고 좌뇌 성장이 나중에 합니다. 어떤 이유인지는 몰라도 남성호르몬이 과하게 노출되면 좌뇌가 손상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자폐증은 남자가 여자보다 4배 정도 많다고 하네요. 여하튼 좌뇌에 손상이 오면 우뇌의 기능이 탁월해집니다. 말 그대로 좌뇌의 부족함을 메꾸기 위해 우뇌가 더욱 발달하면서 부족한 부분이 생기기는 하지만 더 뛰어난 능력도 발생하는 것이지요.

호주의 신경학자 스나이더 교수는 이를 실험으로 증명해냈습니다. 어려운 문제를 실험자들에게 풀게 하였으나 모두 풀지 못했다고 합니다. 실험자들의 좌뇌 특정 부위에 전기자극을 주어 무력화시켰더니 40% 이상이 그 문제를 풀게 되었다고 합니다.

 서번트 증후군의 권위자인 미국 위스콘신의대 트레퍼트 교수 역시 이들은 공통적으로 좌뇌에 문제가 있거나 좌뇌와 우뇌의 연결이 끊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보통 좌뇌는 이성적, 우뇌는 감성적인 부분을 담당한다고 하지요. 트레퍼트 교수에 따르면 우리는 모두 서번트 증후군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좌뇌의 이성적인 억압으로 그 능력을 봉인한 채 살아간다고 합니다.

치매나 질병으로 좌뇌가 나중에 손상되면서 후천적으로 서번트 증후군 능력을 가지게 되는 사례도 보고 되고 있습니다.

 

서번트 증후군 뇌의 역할

■ 사례

1988년 영화 '레인맨'의 모델인 킴 픽은 인간 스캐너로 불리는데요. 책 9,000권을 외우고 있으며, 한 페이지를 읽는데 10초 정도가 소요된다고 합니다.

영국의 화가인 스티븐 윌트셔도 있습니다. 그는 3살부터 자폐증 증세를 보였고 5살에 특수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이때부터 미술에 대한 특별한 능력을 보였다고 합니다. 헬기에서 20분간 본 도시의 전경을 3일에 걸쳐 똑같이 그려내기도 합니다.

레슬리 렘키는 아무리 어려운 음악도 한 번만 들으면 피아노로 똑같이 연주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서번트 증후군의 오해

자폐 증상을 보이면 서번트 증후군일까요?

 - 자폐와 서번트 증후군은 동일 개념이 아닙니다. 자폐 환자들 중에 서번트 증후군이 없는 분들도 있고, 서번트 증후군 중에서도 자폐가 아닌 분들도 많다고 합니다. 서번트 증후군은 극소수입니다.

 

 

내 생각 더하기


서번트 증후군은 특별한 능력이긴 하지만 좋기만 한 것은 아니지요. 다양한 분야에서 초능력에 가까운 능력을 보여주지만 평범한 일상생활에서는 어려움을 많이 겪게 됩니다. 원인에서도 볼 수 있듯이 좌뇌의 손상을 보상하기 위해 우뇌의 특별한 능력을 발휘하게 되는데요, 우리도 자폐의 힘든 점만을 보기보다는 그들의 뛰어난 능력도 볼 수 있도록 편견 없는 시선이 필요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