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하나 더 배워가는 하루 발전입니다.
제가 요 며칠 동안 다래끼로 고생했습니다. 처음에 눈에 이질감이 생기더니 조금 붓는 거 같더라고요. 이게 긴가 민가 하다가 보니 금방 더 부어오르고 눈곱이 끼면서 조금 아프기도 했습니다. 왜 그러지 했는데 주변에서는 다래끼라고만 하고 원인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말해주는 사람들이 없었습니다.
그만큼 사람들 주위에서 흔하면서 자세히 모르는 것들이 많더라고요. 눈은 아픈데 이게 옮는 건지 안 옮는 건지, 병원은 가야 하는지, 약속은 있는데 술은 먹어도 되는지 등 다래끼에 대해서 한 번 간단하고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줄 정리
눈 다래끼란?
눈꺼풀에 이는 분비샘에 생긴 염증.
더 자세히 알아보자
■ 원인
눈꺼풀에는 눈물의 증발을 막아주는 기름 성분을 배출하는 분비샘이 있습니다.( 짜이스 샘, 몰 샘, 마이봄샘 등) 그런데 이곳의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염증이 생기고 세균 감염이 되는 것이 다래끼입니다.
분비샘 별로 짜이스 샘이나 몰 샘에 생기면 겉 다래끼, 마이봄샘에 생기면 속 다래끼라고 합니다.
역시 마이봄샘에 생기나 급성이 아닌 만성 육아종성 염증은 콩다래끼라고 합니다. 이 콩다래끼는 세균 감염이 아닌 배출되지 않은 기름 성분에 생깁니다.
■ 증상
겉 다래끼와 속 다래끼는 붉게 변하고 붓고 통증이 상대적으로 심합니다. 그리고 농양이 생깁니다.
겉 다래끼는 눈꺼풀 가장자리가 부으면서 아프고 눌러보면 단단하며 통증이 생깁니다.
속 다래끼는 보통 안쪽에 생기는데요, 눈꺼풀을 뒤집으면 보이는 빨간색 점막에 노란 농양점이 생깁니다.
콩다래끼는 통증은 거의 없으나 눈꺼풀 가장자리 밑에 단단한 부분이 만져집니다.
■ 진단
위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 병원이나 약국에 가면 쉽게 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통 보기만 해도 알고(시진), 조금 더 정확한 검사를 위해 만져보며 붓거나 단단해진 정도를 비교해봅니다.
■ 치료
보통 어른들이 마이신 먹어야 한다고 하시는데요, 이 마이신은 항생제의 종류입니다.
대부분의 눈 다래끼는 시간이 지나면 나아지지만 그동안 불편하고 힘들기 때문에 약을 먹거나 안약을 넣습니다.
항생제 안약이나 안연고를 직접 바르고 항생제를 복용합니다. 보통 먹는 것보다는 직접적인 전달을 위해 안약 종류가 더 효과가 빠르다고 합니다. 저도 항생제 약과 붓기 제거해주는 약을 동시에 복용했습니다. 그런데 정도가 심하거나 잘 안 났는 경우에는 안과에 가서 절개하여 안에 농을 빼냅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은 온찜질입니다. 40도 정도 되는 따뜻한 찜질로 15~30분 정도 하루에 4~6회 정도 진행하는데 온도를 맞추거나 하는 게 힘든 일입니다.
그래서 정도가 약하면 약국에 가서 약을 받아 드시고, 정도가 심하시면 꼭 안과에 방문해 치료를 받으세요!
■ 예방
더러운 손으로 눈을 만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체질상 다래끼가 자주 생기는 사람들도 있으니 그런 분들은 세수할 때 눈꺼풀과 속눈썹도 잘 닦아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주요 질문
1. 전염이 되나요?
일반적으로 전염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유행성 결막염 같이 전염성 질환이 눈곱이 끼고 붓는 증상이 비슷하여 전염된다는 오해를 받기도 합니다.
2. 렌즈를 껴도 되나요?
렌즈를 착용하면 세균의 부산물이나 분비물이 렌즈에 붙게 되어 눈 안에 더 오래 있게 됩니다. 그러면 각막염이나 다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렌즈는 다래끼가 다 났고 나서 착용하셔야겠습니다.
3. 영양이 부족하면 생기나요?
다래끼와 영양상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4. 다래끼를 짜 줘야 할까요?
나아지고 있으면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위생이 좋지 못한 상태에서 짜면 세균 감염을 악화시킬 수 도 있습니다.
5. 절개하면 흉터가 남지 않나요?
눈꺼풀 뒤에 생기면 피부에 흉터가 남지 않으나, 눈꺼풀 앞쪽에 있으면 흉터가 남을 수도 있습니다.
6. 술을 먹어도 되나요?
염증이 생긴 증상이기 때문에 술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코올 성분에 의하여 염증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7. 음식
많이 기름진 음식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특별히 가리거나 할 필요는 없습니다.
내 생각 더하기
한 동안 저도 다래끼 때문에 고생했었는데요, 약국에서 약을 먹으니 많이 좋아졌습니다. 시간대별로도 심해졌다가 나아졌다가를 반복하더라고요. 보통 다래끼는 전염된다, 술로 소독해야 한다 등 전문적이지 못하고 다양한 의견들이 많아서 한 번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증상이 심하거나 아프신 분들은 꼭 병원에 가서 정확한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하루 한 가지 하루 발전이었습니다.
'하루지식 >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_증상과 치료 예방법으로 무더위 이겨내자. (0) | 2021.07.19 |
---|---|
냉방병 증상과 치료 예방까지_간단하고 자세하게 알아보자. (0) | 2021.07.18 |
빌런 뜻부터 사용까지_빌런이 무슨 말이야? (0) | 2021.06.19 |
아스퍼거 증후군이란_자폐와 차이는?_원인부터 증상 치료까지 (1) | 2021.05.27 |
서번트 증후군 뜻부터 원인 사례까지_간단하고 자세하게 알아보자 (0) | 2021.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