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뭔가 어려운 단어 같은데 다 아는 것처럼 사용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이 플라세보 효과가 아닌가 해요. 누구한테 배우지도 않았고 알려주지도 않았는데 많이들 사용하고 다 알아듣는 것 같죠. 이 플라세보 효과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플라시보 효과란?
플라세보 효과는 '위약 효과'라고도 불리며, 실제 효능이 없는 약을 먹었음에도 긍정적인 믿음에 의하여 실제 효과가 발생하는 심리적 효과를 말합니다.
조금 어려우신가요? 쉽게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화가 안돼서 불편해하는 친구가 있습니다. 그 친구에게 아무 효과가 없는 약을 한 알 주면서 이것은 효과가 정말 좋은 약이라고 전해줘서 먹입니다. 그랬을 때 심리적인 효과에 의해서 소화가 잘 되는 것 같다고 느끼고 실제로 소화 개선까지 되는 것을 플라세보 효과라고 합니다.
이런 플라시보는 '즐겁게 하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2. 플라시보 효과의 활용
플라세보 효과는 신약 개발이나 약의 효능 검증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만성 위염을 가지고 있는 실험자 A, B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리고는 정말 효과가 좋은 약이라면서 A에게는 실제 효능이 있는 개발한 약을, B에게는 아무 효과가 없고 모양만 똑같은 약을 전달합니다. 만약 신약 개발에 성공했다면 누구에게 더 효과가 좋아야 할까요? 맞습니다. 바로 A에게 더욱 효과가 좋아야 합니다. 두 피실험자 모두에게 플라세보는 적용되었고 B가 기준이 됩니다. A는 B와 동일한 플라세보에 실제 효능이 더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3. 플라시보의 반대말 노시보 효과
노시보 효과란 플라시보의 반대말로 실제 효능이 있는 약을 줘도 환자가 믿지 않으면 약효가 발생하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환자의 믿음이 큰 역할을 하는 플라세보가 역으로 작용하는 효과가 되겠네요. 그래서 실제 병 치료를 위하여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의사와의 신뢰관계, 병을 이겨내고자 하는 본인의 의지가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습니다.
'하루지식 >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사랑을 잊지 못하는 이유는? 자이가르닉 효과 (0) | 2022.03.27 |
---|---|
사회 문제가 될 수도 있는 베르테르 효과 뜻 (0) | 2022.03.24 |
[생활 상식] 1평은 몇 제곱미터? 평수 계산 쉽게 하는 법 (0) | 2022.03.08 |
[꿀팁] 와이파이 비밀번호 알아내는 법(와이파이 공유) (0) | 2022.02.17 |
화물차 눈동자 스티커_왕눈이의 비밀 (0) | 2022.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