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꿀팁

[통신비 꿀팁]자급제폰이 뭔데? 알기 쉽게 한방 정리_자급제폰이란

by 하루발전 2022. 1. 11.

현대인들의 필수품인 핸드폰. 그러고 보면 핸드폰이 우리들 품에 들어온 지 오래되었습니다. 20년도 훨씬 넘었죠? 그런데 요즘에 낯선 단어가 유독 많이 들리는데요. 자급제는 뭐고 알뜰폰은 또 뭔지 한 번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은 통신비로 얼마정도 나가시나요? 어떤 기계, 어떤 요금제, 계약 조건에 따라 많이 다르겠지만 통신비만큼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도 없는 것 같습니다. 어떤 분들은 10만 원 훨씬 넘기는 분들도 있고 어떤 분은 1만 원대로 비슷한 서비스를 지원받고 있으신 분들도 있습니다. 같은 품질이라면 저렴하게 쓰는 게 좋지 않으신가요? 그래서 요즘 유행인 것이 바로 자급제 폰입니다.  지금 뜨끔하시는 분들이라면 잘 읽어보세요.

자급제폰

 

자급제란?

쉽게 설명하면 일반 가전 제품처럼 핸드폰 기계를 사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고 보면 조금 이상하지 않으신가요? 텔레비전, 냉장고는 분명 직접 구매를 하는데 핸드폰은 산다기보다 뭔가 복잡하게 계약하는 느낌이죠. 이는 여러분들이 통신사 구매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자급제폰 VS 통신사폰

자급제는 위에서 설명드린대로 기계를 따로 사는 것이기 때문에 자유로운 핸드폰입니다. 어느 통신사든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지요. 그러나 통신사 핸드폰은 그 통신사를 이용해야 하고 요금제, 할부 개월 등 다양한 조건이 붙습니다. 그리고 대리점에서는 자신들의 이익을 좋게 판매하기 위해서 계약조건 중 핸드폰 가격(할부원금)을 직접적으로 알려주지 않고 여러 가지 조건들을 붙이면서 저렴하게 사는 듯이 위장시키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자급제의 장점

1. 통신사 제약이 없습니다. 원하는 통신사 특히 알뜰폰도 사용 가능합니다.

2. 약정의 제약이 없습니다. 보통 핸드폰을 사면 2년동안은 무조건 써야 한다 이런 고정관념이 있지 않으신가요? 자급제는 직접 샀기 때문에 언제든 중고로 팔 수 있습니다.

3. 핸드폰 가격이 저렴한 편입니다. 보통 통신사에서 핸드폰을 사면 24개월로 할부가 되고 그러면 할부수수료가 붙습니다. 자급제의 경우 구매 시 적용되는 카드 혜택 등을 사용하면 할부도 되면서 무이자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핸드폰 가격도 보통 조금 저렴한 편입니다.

 

자급제의 단점

물론 단점도 있습니다.

1. 공시지원금 혜택을 못 받습니다.

가끔 통신사 구매 시 정책으로 인해 높은 공시 지원금을 주는 기종들이 있습니다. 그럴 경우 자급제보다 핸드폰 가격이 저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법이긴 하지만 소위 성지라고 하는 곳은 이런 공시 지원금을 통해 핸드폰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곳이므로 자급제와는 거리가 멉니다.

 

자급제의 Q&A

1. 개통은 어디서 할까요? 

자유로운 핸드폰입니다. 기존에 쓰시던 핸드폰의 유십침을 꽂으셔도 되고 대리점 가서 신규 개통을 하셔도 됩니다. 알뜰 요금제 유심칩을 사도 됩니다. 보통 유심칩을 새로 꽂으면 인식을 하기 위해 몇 번 껐다가 켰다가를 반복하는데 비행기 모드로 왔다 갔다 해도 됩니다.

2. 선택약정은 안 되나요?

통신사 상관없이 가능합니다. 114 전화 후 신청하면 됩니다.

3. 성능의 차이가 있나요?

없습니다.

4. 기존 번호 사용 가능한가요?

네. 기존에 쓰시던 유심칩을 꽂으면 개통되는 것이 기존 번호 사용입니다.

5. 어디서 사나요?

보통 온라인에서도 많이 구매하고 애플스토어 등에서도 구매합니다.(온라인에서도 통신사 결합인지 확인하세요!)

 

자급제 + 알뜰폰 요금제

사실 이 조합을 위해서 대부분 자급제 핸드폰을 사용하시죠? 요즘 대부분 5g 고가의 요금제로 형성되어 있는 통신사에 비해 알뜰폰 요금제는 저렴하기 때문에 매월 나가는 통신비에서 많은 차이가 납니다. 보통 아이폰의 같은 경우 중고폰 시세도 높기 때문에 자급제 알뜰폰 저렴한 요금제로 사용하시다가 중고로 팔면 거의 새로운 핸드폰을 살 수 있는 가격이 나오곤 하더라고요. 이렇게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단점도 있습니다.

(1) 통신사 혜택을 못 받습니다. 보통 통신사 혜택이면 편의점 할인과 같은 멤버십 서비스와 인터넷, 가족 결합과 같은 요금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 

(2) 요금제 혜택도 못받습니다. 테이터 쉐어링, 구독 서비스 무료와 같은 통신사 연계 서비스들도 지원이 안됩니다.

(3) 로밍을 자주 이용하면 품질이 아쉽습니다.

(4) 고객센터 등 서비스가 어렵다

 

그런데 다시 생각해보겠습니다.

(1) 한 달에 통신사 혜택을 얼마나 받으시나요?

(2) 요금제 혜택 감안해도 요금제 자체가 저렴합니다.

(3) 해외 자주 나가시나요?

(4) 고객 센터에 자주 전화하시나요?

이러면 정답이 나오지 않습니까?

 

가족 결합이 없고 해외에 자주 안 나가고 통신비를 아끼고 싶다면 자급제 핸드폰 + 알뜰폰 요금제로 추천드립니다. 요즘 알뜰폰 업체들도 많아지고 경쟁이 심화되면서 높은 서비스를 더 저렴하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댓글